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근손실 발생시기 그리고 방지하기

by baroo08300 2024. 10. 3.
반응형

 

목차

     

    근손실은 많은 헬스인들이 운동 쉬게될때 가장 크게 걱정하는 부분입니다.

    첫째, 출장 업무등으로 쉬어야한다.

    둘째, 부상으로 인해 쉬어야한다.

    그리고 셋째, 몸이 피곤한것같은데 쉬어도 되는지 모르겠다.

     

    결론부터, 2주정도는 쉬어도 큰 이상 없습니다.

    지금부터 근손실이 언제부터 시작되는지 그리고 근손실 최소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 근손실 시작 시점

    근손실이 시작되는 시점은 일반적으로 운동을 중단한 지 2주정도 지나면서 시작됩니다. 헬스인들은 1주일만 쉬어도 몸에 근육이 빠져 작아진거같고 힘이 줄어든것같은 느낌이 들지만 연구결과로 1주일정도는 근육량 그리고 근력에 큰 변화가 없습니다. 오히려, 1주일 쉬었을때 근육의 회복으로 퍼포먼스가 증가하는 경우가 더 많았습니다. 하지만 3주차 부터는 근육량이 실제로 줄어들기 시작하며, 실제 근육의 부피 (근섬유의 단면적) 그리고 그에따른 근력의 저하가 점진적으로 나타납니다.

    • 1주일 : 근육량 및 근력에 변화 없음
    • 2~3주일: 근육의 밀도감소 시작, 하지만 큰 차이는 없음
    • 4주일 이후: 근육 부피감소 및 근력감소, 본격적인 근손실 시작

     

     

    2. 쉬면서 근손실 최소화를 위한 주의사항

    첫째, 균형 잡힌 식사 : 근육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운동을 쉬는동안에도 충분한 단백질과 칼로리 섭취가 필요합니다. 본인의 몸무게 * 1.2g 정도의 단백질을 섭취하는 것이 권장되며, 평소 운동시간 및 강도가 강해서 기초대사량이 높을경우 몸무게 * 2g 까지도 섭취를 유지해주는것이 좋습니다.

     

    둘째, 가벼운 운동: 2주 이상 쉬더라도 푸쉬업과 스쿼트 이 두가지만 진행해줘도 근육의 활성도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가장 주의할점은 쉬는동안 계속해서 누워있는 등 근육을 아예 사용하지 않는경우 입니다. 이경우 근육의 활성도 저하로 근손실이 더 빨리 오게됩니다.

     

    셋째, 충분한 수면: 근육의 성장은 운동 후 찢어진 근육이 회복될때이며 특히 오후 10시 ~ 새벽 2시 사이에 가장 회복이 빠릅니다. 운동을 쉬더라도 오후 10시 ~ 새벽 2시 시간대의 수면시간은 확보해주는것이 근손실을 최소화하는 방법입니다.

     

     

    3. 마인드 컨트롤, 쉬어도 괜찮습니다.

    쉬는동안의 근손실에 대한 부담감과 압박감은 오히려 근육 성장에 방해가 됩니다.

    • 쉬었기때문에 무거운 중량으로 빡세게 해야한다? 부상의 지름길 입니다.
    • 1주일 쉬었을때 오히려 근육의 회복으로 퍼포먼스가 증가합니다. 단, 갑자기 고중량은 금물
    • 6개월 이상 운동을 꾸준히 했다면 머슬메모리로 인해 퍼포먼스가 금방 돌아옵니다.

    운동을 쉬는 동안에도 적절한 영양관리 그리고 기본 맨몸 운동만으로도 몸 상태를 2~3주간은 유지할 수 있습니다. 아깝게 쌓아온 근육은 쉽게 사라지지 않으니 쉴때는 편하게 쉬는것도 중요합니다. 특히 쉬었으니 다시 빠르게 근육을 올린다고 갑작스럽게 고중량을 들면 부상이 쉽게 찾아와 또 강제로 쉬어야할 수도 있으니 주의해야합니다.

    반응형